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fXSmX3aiWs

안녕하세요. 이번 영상은 바이어가 진행 중인 오더에 대해 캔슬 요청이 왔을 때

liability 금액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바이어는 코로나 상황에서와 같이 매출이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할 경우

진행하고 있는 오더를 캔슬하여 현금 유출을 최대한 줄이려고 합니다.

매출이익에서 벤더에게 오더 대금을 지불해야 하는데 매출이 없으니 오더를 끊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지불불능 상태라면 파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매출이 문제네요!

그러나 갑의 입장이라고 해도 하고 싶은 것을 모두 할 수는 없습니다.

오더 진행 상황에 따라서 금액이 천차만별입니다. 거시적으로 어떻게 금액을 산출하는지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먼저 옷의 가격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다시 확인해 봅시다.

원자재, 부자재, 공임, 기타비용으로 되어 있고 각 항목마다 단계별로 금액이 다릅니다.

 

원자재 liability 금액 산출

 

 

당연히 작업이 모두 끝났으면 전액에 대해서 liability가 발생합니다.

금액은 요척에 원단가(원단상태에 따라 다름)를 곱하면 됩니다.

바이어에게 오픈된 YY(요척)이 있다면 그 요척 그대로 사용해야 하며

바이어가 원단 요척을 모른다고 하면 실제 YY로 금액을 산정해야 합니다.

오더 캔슬로 이익을 내려다가 벤더 원가 구조가 오픈될 위험도 있습니다.

 

(1) 원사 구입만 완료된 상태

원사 구입비용만 업체에 받아서 금액을 산출하면 됩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원사 구입 후 바로 시직을 하므로 원사 상태로 남아있을 확률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2) 시직하여 생지(Greige)로 남아있는 상태

원사와 시직 비용으로 금액을 산출하면 됩니다. 그러나 생지는 보관을 아무리 잘해도 원단이 점차 삭게 되어 3~6개월 내에 소진되어야 합니다. 비용도 비용이지만 굉장히 아까운 부분이므로 바이어나 벤더 내부에서 소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야 합니다.

 

(3) 염색이 완료된 상태

위에서 설명했듯이 오픈된 원단가 그대로 금액을 산출하면 됩니다. 선적 여부와 관련없이 금액은 동일합니다. 그러나 아무래도 선적이 되지 않았으면 타 브랜드나 바이어로 소진될 여지가 남아있으므로 그나마 희망적입니다.

 

부자재 liability 금액 산출

 

원자재에 동일하게 진행 상황에 따라서 다릅니다. 금액은 부자재 수량에 오더 수량을 곱하면 됩니다.

캔슬된 금액 외에도 다른 스타일로 소진시켜 달라고 바이어에게 꼭 요청해야 합니다.

 

공임 liability 금액 산출

실제 공임과 관계없이 사전원가의 공임을 기준으로 금액을 산정해야 합니다.

만약 벤더담당자가 사전원가를 제대로 산출했다면 바이어에게 제시한 공임과 공장과 합의한 공임의 차이가 있습니다. 즉, 바이어 제시 공임이 더 커야지 이익이 발생하겠죠?

예를 들어, 특정 오더에 대해서 $1.50 CM으로 바이어가 알고 있고

실제로 공장과 협의한 금액이 $1.30이라면 $0.20 CM에 대해서 마진차이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1.50CM으로 라이어빌리티를 산출해야 합니다.

원자재와는 다르게 높은 금액으로 해야 하는 이유는 Liabilty Chart로 CM이 오픈되면

나중에 바이어와 Costing 단계에서 CM 문제로 시달릴 수 있습니다.

많은 카드를 가지고 바이어와 협상해야 하므로 이 부분은 주의해야 합니다.

 

작업 전이라도 라인부킹이 되었으므로 Line Blank Charge가 발생하므로 그 금액을 산정해야 합니다.

보통 Blouse 용 Line은 하루에 $1,500정도 발생하므로 작업이 예상되는 일수를 곱하여 산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0,000 장 오더에 대해서 800 pcs/day의 생산량을 가지고 있다면

12.5일이 필요하므로 13일로 계산하여 $1500 * 13days = $19,500으로 liability 금액을 산출하면 됩니다.

 

기타비용 liability 금액 산출

기타비용은 대부분 발생 전이고 있다고 해도 금액이 적어서 보통 liability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벤더에서 이 금액을 absorb, hold, 또는 partnership한다고 표현합니다.

쉽게 말해서 벤더에서 그 금액을 먹는거죠 꿀꺽~

 

반응형
Posted by 벤더머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의류벤더 / 부동산 / 경매 / 해외영업 / 영어회화 / 볼링 / 당구 / 부자마인드 / 개인사업 / youtube / 개인사업 / 스마트스토어 / passive income / 카페 / 비트코인
벤더머신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