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벤더

의류벤더 의류 가격 결정 요소 [Vendor EP5]

벤더머신 2020. 3. 18. 21:41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2a-gCbD7mpw

 

 

 

가격 구성 요소

(1) 원자재: 원단가 x 요척 (=YY ; Yield Per Yard)로 구성되며, 1 pc 제작 시 소용되는 원자재 비용 (loss 제외)

예) $2.15/yds의 원단의 요척이 1.78 YY일 경우

$2.15 X 1.78 yy = $3.738


(2) 부자재: Trim x EA (개수)로 구성되며, 1 pc 제작 시 소요되는 부자재 비용 (loss 제외)

예) \50원짜리 버튼 6개가 들어가는 blouse (실무에서는 달러표시)

버튼은 extra 1 ea 포함시켜야 함. 실제 옷을 구매해도 extra button이 있음

$0.050 x 7 EA = $0.35


 

(3) 공임: CM (Cut/Make)로 불리며, 공장에서 입고된 원부자재로 1 pc 제작 시 소요되는 비용

예) 일일생산량 700 pcs blouse를 공장과 $1.80으로 협의

+ $0.30 overhead cost 제외


(4) 기타 비용: 위 외에 1 pc 제직 시 소요되는 비용이나, 그 금액이 대부분 일정하여 실무에서는 rough하게 사전원가서에 입력

예) garment test fee /thread/ label / carton / poly bag / barcode 등

$0.60 miscellaneous cost


위 Blouse의 가격을 buyer에게 offer한다면?

: 위 blouse의 원가는 아래와 같음

Total Net Cost : $3.738 + $0.35 + $1.80 + $0.30 + $0.60 = $6.788

만약 여기에 15% 마진을 포함하여 buyer에게 포함할 경우 그 가격은 $7.81

 

매출 및 제조원가 예시

 

- 원자재 : 42.03%

- 부자재 : 4.65%

- 임가공(=공임) : 39,93%

- 매출이익 : 13.39%

=> 위는 woven blouse 기준이며, 원자재와 공임이 원가의 80% 이상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사전원가서 예시

: 사전원가서의 format은 벤더별로 상이하며, 위에 대한 해석은 다른 영상에서 자세히 설명 예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