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벤더

의류벤더 오더(buy sheet)에 대해서 알아보자 [Vendor EP11]

벤더머신 2020. 12. 8. 17:43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VJaLirbwZw

 

Buy Sheet에 포함되는 내용

 

Style number

: 특정 스타일에 대한 문자나 숫자형식의 고유번호.

개발 단계에서 정한 style# 그대로 buy sheet에 오는 경우가 있고 변경되어 오는 경우가 있음. 정황상 변경되어 온 style#가 개발 단계에서 진행한 style#라면 바이어에게 맞는지 확인 후 진행해야 함.

추가로 Style#는 브랜드에 따라서 일정 형식으로 정해짐. 그래서 바이어가 특정 style#를 특정 스타일로 정하고 벤더에게 개발 요청을 시작함.

 

Garment Description

스타일의 고유번호(style#)가 아닌 옷의 특징 설명.

바이어들끼리는 style#가 아닌 옷의 특징으로 해당 스타일을 부름. (flutter sleeves, cold shoulder blouse 등)

보통 개발 단계에서 style#와 garment description이 함께 묶어서 오기 때문에 buy sheet에서 style#가 변경되어 올 경우 description을 확인하여 추적하는 것도 좋은 방법임.

 

Order Units

 

: 특정 스타일의 바이어 구매 수량.

가장 중요한 오더 수량. 개발 단계에서 알려주었던 수량과 큰 차이가 있으면 반드시 한 번 더 문의 후 원부자재 발주를 진행해야 사고가 없음.

 

ELC

 

: 특정 스타일의 바이어가 사는 옷의 가격.

벤더에서는 FC와 ELC를 한꺼번에 기억해야 하나, 바이어들은 본인이 사는 가격인 ELC(Estimated Landing Cost)만 기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이는 벤더별로 FC 가격이 상이한 경우가 있어서도 그러함.

order sheet에 개발 단계에서 confirmed한 가격이 아닌 것이 적혀 있으면 바이어에게 callout하여 수정 받아야 함. 가격이 정리되지 않았다면 마지막으로 제시한 가격이 입력되는 경우도 있음.

Ticket Price

 

: Retail Price라고도 부르는 소비자 판매 가격.

retail px에 따라서 바이어 마진이 변경되므로 개발 단계에서 특정 스타일의 retail 가격을 일일이 물어보고 FC/ELC를 산출해야 함.

이는 바이어가 retail px를 낮추고 가격을 심하게 깎은 후 retail px를 다시 변경하는 경우도 있음.

 

Delivery Date

 

: 바이어 DC(Distribution Center)에 도착하는 일자. 즉 바이어와 약속한 납기일자.

C/O(Country of Origin)에 따라 transit period이 다름.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에서 미국 DC는 48일, 베트남에서 미국 DC는 41일.

해당 스타일의 가먼트 생산 공장의 위치에 따라 inDC 도착일자가 다르므로, 항상 확인 후 바이어와 납기를 working해야 함.

 

반응형